FSN200 - 생화학 Biochemistry, 3, 3
단백질, 탄수화물, 지방, 핵산 및 효소등 생체물질의 대사과정 및 조절에 관하여 학습한다.
FSN201 - 조리원리및실습 Principle of Cookery and Laboratory, 3, 4
식품의 화학적, 물리적 변화를 고려한 합리적 조리수단을 연구하고, 식품재료, 소화 위생적 처리, 영양소의 균형적 배합 등을 강화한다.
FSN202 - 식품학 Food Science, 3, 3
식품학 이론, 가공 및 이용방법 등을 이해시켜 관련 학문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기초 지식을 습득케 한다.
FSN203 - 영양학 Nutrition, 3, 3
영양학에 대한 기본적이고 폭넓은 지식을 학습한다.
FSN204 - 식품화학 Food Chemistry, 3,3
식품을 구성하는 일반성분 및 특수성분의 특성과 식품의 가공, 저장 시 일어나는 물리, 화학적인 제변화에 대하여 학습한다.
FSN205 - 식품미생물학 Food Microbiology, 3, 3
식품과 관련된 미생물의 종류, 특성, 생리, 대사에 관하여 학습한다.
FSN300 - 식품위생학 Food Hygiene, 3, 3
식품이 섭취될 때까지의 건강성, 안전성 완전무결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각각의 개론인 식품위생개요, 자연중독, 화학중독, 미생물의 의한 식중독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.
FSN301 - 생애주기영양학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, 3, 3
생애주기(영아기, 유아기, 아동기, 청소년기, 성인기, 노인기 등)에 따른 영양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식생활 관리를 학습한다.
FSN302 - 단체급식 관리 및 실습 Food service & Laboratory, 3, 4
단체급식 현장에서 영양사 혹은 급식관리자로 활동하는데 필요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익혀 급식관리 능력을 배양한다.
FSN303 - 고급영양학 Advanced Nutrition, 3, 3
영양학의 기초지식을 토대로 영양소, 효소, 호르몬, 에너지 대사 및 영양권장량에 대하여 심도있게 학습한다.
FSN304 - 임상영양학 Clinical Nutrition, 3, 3
각종 질병 시에 나타나는 생체내의 변화 및 영양소 요구량의 감소와 증가를 기초로 하여 임상 영양학의 원칙을 습득하게 한다.
FSN305 - 식사요법 및 실습 Diet Therapy & Practice, 3, 4
각종 질병의 임상적 특성, 적응, 치료 효과를 고려한 영양기준, 식품구성에 의한 식단작성 및 식사계획을 강의하고, 치료식의 이론과 실제를 영양관리 및 실습을 행함으로써 영양사(병원영양사)로서의 자질을 기른다.
FSN206 - 생화학실험 Lab, in Biochemistry, 2, 4
기본적인 생체물질, 즉 탄수화물, 지질, 단백질 및 효소작용 등에 관하여 실험한다.
FSN207 - 공중보건학 Public Health, 3, 3
공중보건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식품 관련 산업에서 야기될 수 있는 보건위생을 집중적으로 학습한다.
FSN208 - 유기화학 Organic Chemistry, 3, 3
기본적인 유기물질의 반응 구조 및 화학적 성질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다룬다.
FSN209 - 식품미생물학실험 Lab, in Food Microbiology, 2, 4
각종 식품미생물들의 분리, 동정, 배양에 관하여 실험한다.
FSN210 - 식품분석학 Food Analysis, 3, 3
식품의 분석에 필요한 정성, 정량분석, 적정법 및 기기분석 등 식품 분석 작용의 이론을 습득케한다.
FSN211 - 보건통계학 Statistics for Health Science, 3, 3
식품영양학 관련 연구계획, 자료수집 및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통계학 이론을 습득하고 통계 처리 능력을 배양한다.
FSN212 - 실험조리 및 식품평가 Food Preparation and Evaluation, 2, 4
식품의 조리과정 중 발생하는 이화학적 변화 및 물성 변화를 연구한다.
FSN306 - 식품재료학 Food Materials, 3, 3
식품의 소재로서의 탄수화물, 식품, 지질성식품, 단백질식품, 비타민과 미네랄 소재식품 등의 영양소의 기능에 의한 식품특성을 공부한다.
FSN307 - 식품분석실험 Food Analysis & Lab, 2, 4
식품분석의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표준용액 제조법 및 식품의 일반분석 및 특수성분 분석을 이론과 실험조작을 습득케 한다.
FSN308 - 식품가공 및 저장학 Food Processing & Preservation, 3, 3
식품가공의 공정과 저장원리를 설명하고 과일, 채소, 곡류, 육제품, 낙농제품, 수산가공품 등의 가공법을 강의하며, 저장에 따른 물리적, 화학적 성분변화 등을 다룬다.
FSN309 - 영양교육 및 상담실습 Nutrition Education & Counselling Practice, 3, 4
습득된 영양의 기본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여러 계층의 대상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을 강의한다.
FSN310 - 영양판정 및 실습 Nutrition Judgement & Practice, 3, 4
영양상태 판정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분석방법 및 분석결과를 검토하는 방법과 영양실채조사 및 영양 실험결과를 이해시킨다.
FSN311 - 식생활관리학 Dietary Management, 3, 3
합리적인 식생활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, 다양한 식생활 관리방법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.
FSN400 - 지역사회영양학 Community Nutrition, 3, 3
지역사회에서의 영양문제를 사회적, 경제적 계층별로 파악하고 각 계층의 영양생활에 미치는 인자 등을 분석한다. 또 시대별 지역사회 영양문제의 변화추세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지역사회 영양문제를 진단해 본다.
FSN401 - 건강기능식품과 영양 Functional Food, 3, 3
식품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을 규명하여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의 개념에서 식품을 평가하고 학습한다.
FSN402 - 급식경영학 Foodservice Management, 3, 3
급식경영 원리를 이해하고 급식경영의 관리적 기능과 업무적 기능에 대하여 학습한다.
FSN403 - 식품위생법규 Law of Food Hygiene, 2, 2
식품위생관계 법규의 각 부분에 규정된 개념에 관하여 학습한다.
FSN407 - 발효식품학(종합세미나) Food Fermentation, 3, 3
미생물의 발효로 생성되는 식품의 장류, 주류, 김치 및 유기산 발효에 관하여 학습한다.
FSN405 - 영양사현장실습 Dietitian Practicum, 2, 4
양사가 근무하고 있는 현장에 직접투입하여 영양사들의 다양한 직무를 경험하고 노하우를 익힌다.
FSN406 - 식문화사(종합설계) Food and Culture, 3, 6
식생활의 자연과학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을 융합시킨 식문화라는 새로운 학문을 통해 동서양의 식문화를 이해한다.